Programming

개발자 SI & SM 업무

다애루 2021. 6. 3. 10:27

S M

System Management(시스템 운영, 또는 유지보수)의 약자다. 예전에는 SM 이라고만 했는데 요새는 ITIL의 영향때문인지 해외에서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Management(ITSM)과 일반 Service Management를 구분하여 사용한다. 

 

S I

System Integration(시스템 구축)의 약자.

산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곳으로부터 하청을 받아, 시스템의 기획, 개발, 유지보수, 운영 등을 대신 해주는 업종이다. 개인보다는 기업이나 관공서가 주된 고객이다. 고객의 요청에 따라 제안서를 작성하고, PM과 개발자를 투입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한 뒤, 소요된 인건비와 솔루션의 단가 등을 수임료로 벌어들이는 형태의 산업이다. 따라서 도급 시스템과 파견업무를 그 특성으로 한다.

 

SI는 요약하자면 ‘시스템을 구축하는 업무’라고 정리할 수 있다. 과거에는 전산시스템을 구축할 때 기업에서 자체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했다. 하지만 전산시스템이 복잡해지고 전문성이 필요해짐에 따라 시스템의 개발, 기획, 유지보수, 운영 등을 대신해주는 하청과 파견업체가 생겨나게 된다. SI형태의 기업으로는 ‘삼성SDS’, ‘LG CNS’, ‘SK C&C’, ‘롯데정보통신’ 등이 대표적이다.


SI 와 SM 의 차이

 

SI 업무는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일정기간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며,

렇게 구축된 시스템을 오픈 이후에 사용하면서 개선사항이나 오류사항에 대해 유지보수를 하는 것이 SM이다. 

예를 들자면, 게임이나 어플등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지속적인 업데이트, 버그 수정, 서버 점검 등의 업무가 있다.

 


+ SM (System Maintenance) 

 

시스템의 기능상 오류가 발생하거나, 현재 구축된 프로그램의 기능을 변경 혹은 추가 하는 등 실제 현업에서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들이 시스템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업무

 

주요 업무

  • 오류 수정, 기능 개선, 기능 추가, 데이터 제공, 시스템 안정화
  • SI를 통해 오픈한 시스템을 유지보수를 하는것

 

+ 대부분의 회사에는 전산실이나 계열 IT회사를 가지고 있다.

  • 삼성 - 삼성SDS
  • LG - LG CNS
  • SK - SK C&C
  • 신세계 -  신세계 I&C
  • 롯데 - 롯데 정보 통신

 

 


 

출처 : 잡코리아 참조
출처: https://bnitech.tistory.com/19 [코딩몬의 하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