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 7

RPC(Remote Procedure call), 분산 컴퓨팅, 원격 프로시저 호출을 도와주는..

어플리케이션과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결을 하기 위해서는 '기술'이 필요하다. 여기에 필요한 기술은 바로 '연계'이다. 연계 기술과 솔루션은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그렇다면, 꼭 연계할 때 중간에 무언가를 거쳐야하는 건지, 직접 연결하면 편리하지 않을까?라는 질문이 생길 수 있다. 타시스템이 DB에 직접 연결되면 어떨까? 연결 방식은 어렵지 않지만 데이터가 바뀌거나 훼손될 수 있다. 여러 시스템이 DB에 연결되다보면 데이터가 바뀌었을 때 원인을 찾기 어렵고 필요에 의해 바뀌었을 경우라도 해당 데이터를 사용하는 타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Coupling이 강해지게 된다. RPC | Remote Procedure Call 분산 네트워크 컴퓨팅에서 프로그래밍을 쉽게 할 수..

Programming 2022.01.18

[데이터베이스 설계] ERD, 논리명, 물리명

논리명 : 의미명(한글이나 알아보기 쉬운 단어로 표현) 한글로 작성해도 무방하며 알아보기 쉽게 작성한다. 물리명 : 실제 컬럼명, 즉 실제 테이블 생성 시 CREATE TABLE에 지정하는 이름을 말한다. 알파벳을 사용하여 작성한다.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작성하는 ERD는 개체 간의 관계를 잘 보여준다는 특징이 있다. 테이블 간의 관계를 명확히 해주며, 설계도의 용도로 사용한다. 개체 : TABLE 또는 VIEW를 의미하며 사각형으로 표시된다. 상단에 개체명을 기입하고 사각형 안에는 속성을 표기한다. (속성은 열, Column을 의미한다.) 개체끼리 상호작용 하는 경우 선으로 이어서 표현한다. 선의 종류를 통해 어떤 관계인지 알 수 있다. *하단에 필자가 작성했던 ERD를 첨부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Programming 2021.11.18

Server란?

Server 서버도 일단 컴퓨터이다. '서버'라는 역할을 하면 '서버' 컴퓨터로 불리는 것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나 노트북도 서버 컴퓨터가 될 수 있으며, 서버 역할만을 위한 서버용 컴퓨터도 있다. Server Rack 'Rack'이라고 불린다. 랙은 서버가 여러개 들어갈 수 있으며 서버 외에도 저장소, 스위치 등이 탑재될 수 있다. 서버의 역할 일반적으로 우리는 보통 정보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로서 컴퓨터를 사용한다. 그런데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가령 내가 어떤 글을 올려놓고 다른 컴퓨터들이 접속해 확인할 수 있게 하면 내 컴퓨터가 서버 역할을 하는 서버 컴퓨터가 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서버'는 개념적인 용어로서 어떤 형태의 컴퓨터이던 정보 제공 역할을 하는 주체이면 '서버'컴퓨..

Programming 2021.07.20

개발자 SI & SM 업무

S M System Management(시스템 운영, 또는 유지보수)의 약자다. 예전에는 SM 이라고만 했는데 요새는 ITIL의 영향때문인지 해외에서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Management(ITSM)과 일반 Service Management를 구분하여 사용한다. S I System Integration(시스템 구축)의 약자. 전산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곳으로부터 하청을 받아, 시스템의 기획, 개발, 유지보수, 운영 등을 대신 해주는 업종이다. 개인보다는 기업이나 관공서가 주된 고객이다. 고객의 요청에 따라 제안서를 작성하고, PM과 개발자를 투입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한 뒤, 소요된 인건비와 솔루션의 단가 등을 수임료로 벌어들이는 형태의 산업이다. 따라서 도급 시스템과 파견..

Programming 2021.06.03

[개발 직무] Front-End / HTML, JS, CSS

IT 분야의 직종에 관심이 있다면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에 대해서 한번쯤 들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필자도 처음 공부를 시작했을 때에는 이 개념이 모호하게 느껴졌었는데, 프로그래밍 언어를 하나씩 배워가면서 이해하게 되었다. 오늘은 프론트엔드의 개념과 사용되는 언어들을 알아보자! 프론트엔드(Front-End) 개념 사용자가 웹 사이트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URL을 입력하거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때, 사용자들은 아주 깔끔한 레이아웃을 가진 인터페이스를 보게 됩니다. 이렇게 사용자가 마주 보는 인터페이스를 테크놀로지 분야에서 ‘프론트엔드’라고 부릅니다. 프론트엔드는 사용하기 쉽고 완전한 기능을 갖춘 인터페이스를 갖추었을 때만 사용자들의 참여를 끌어내기 때문에 아주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서비스의 ..

Programming 2021.05.17

[JAVA] 참조형(레퍼런스) 변수, 그게 뭔데?

변수(Variable)는 문자, 숫자와 같은 데이터를 담는 저장소(container)이다. 여기에 담겨진 데이터는 다른 데이터로 바꿀 수 있으며, 변수에 담을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는 데이터 타입으로 정해져 있다. 자바에서 변수는 기초 변수와 참조형 변수로 구분된다. 오늘은 참조형 변수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자! 기초 변수 : int, double, char 등 자료형으로 선언된 변수. 자료형으로 선언된 변수는 객체라고 하지 않는다. 레퍼런스 변수 : 메모리상에 생성된 인스턴스를 가리킬 때 사용하는 변수다. 인스턴스란? 객체를 소프트웨어에 실체화하면 그것을 인스턴스라고 부른다. 즉, 메모리에 할당 된 객체를 인스턴스라고 한다. 인스턴스는 객체에 포함되며, OOP 관점에서 객체가 메모리에 할당되어 실제로 ..

Programming 2021.04.26

MVC 패턴 그게 뭔데, 어떻게 하는건데?

M V C MVC는 'model–view–controller'의 약어로서,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을 말한다. Model, View, Controller 세 부분으로 나눠지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비즈니스 로직(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는 부분)을 분리한다. 즉, 어떤 특정한 역할들에 대해 역할분담을 할 때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애플리케이션의 시각적 요소와 서로 영향 없이 쉽게 고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다. Model :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데이터) View : 텍스트, 체크박스 항목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Controller :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 사이의 상호동작을 관리 뷰에 대한 행동 / 사용자가 재생 버튼을 클릭 ↓ 뷰에서 ..

Programming 2021.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