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1

RPC(Remote Procedure call), 분산 컴퓨팅, 원격 프로시저 호출을 도와주는..

어플리케이션과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결을 하기 위해서는 '기술'이 필요하다. 여기에 필요한 기술은 바로 '연계'이다. 연계 기술과 솔루션은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그렇다면, 꼭 연계할 때 중간에 무언가를 거쳐야하는 건지, 직접 연결하면 편리하지 않을까?라는 질문이 생길 수 있다. 타시스템이 DB에 직접 연결되면 어떨까? 연결 방식은 어렵지 않지만 데이터가 바뀌거나 훼손될 수 있다. 여러 시스템이 DB에 연결되다보면 데이터가 바뀌었을 때 원인을 찾기 어렵고 필요에 의해 바뀌었을 경우라도 해당 데이터를 사용하는 타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Coupling이 강해지게 된다. RPC | Remote Procedure Call 분산 네트워크 컴퓨팅에서 프로그래밍을 쉽게 할 수..

Programming 2022.01.18

[Java] List<Map<String, Object>> 데이터 출력하여 array에 값 추가하기

구현해야했던 기능은 List 형태의 데이터를 array에 담고 콤보박스에 추가하는 것! 일반적인 웹 개발에서 콤보박스에 데이터를 세팅하는 경우, 데이터 타입이 List 인 데이터를 이중 for문을 통해서 세팅이 가능했다. 사용중인 솔루션은 콤보박스에 데이터를 넣을 때 array 형태만 넣어줄 수 있어 데이터를 꺼내 array에 넣어주는 작업이 한번 더 필요했다. // Error String arr[]; arr[i] = map.getValues(); // Debbugging String arr[] = new String[list.size()]; //배열 크기를 ListMap 사이즈로 지정 for(int i=0; i< list.size(); i++){ //ListMap 사이즈만큼 반복 for(Entry da..

Java 2022.01.10

[Java / SWT] for문을 이용해 배열과 콤보박스에 데이터 넣는 방법

Swing이나 SWT를 사용하여 개발할 때 콤보박스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많은 양의 데이터를 아이템으로 추가해야하는 경우 코드가 매우 길어질 수 있다. (하단 내용은 JSP의 select option에서도 활용 가능!) 무조건 코드의 길이가 길다고 안좋은 코드라고 볼 수 없지만 개발자라면 일정하고 단순 반복되는 데이터가 일일이 적혀있는 경우 불필요하게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아마 어떤 메소드나 함수를 사용해서 이걸 묶어버릴지 바로 고민하기 시작할 것 같다. 개발자라면.. 절대 못참지!) 무튼, 현재 개발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다르겠지만 나 같은 경우 For문을 사용할 일이 드물었는데 SWT 를 이욯한 UI 솔루션을 사용하게 되면서 콤보박스에 데이터를 넣을 일이 생겼다. 단순..

Java 2022.01.07

[MySQL] foreign key로 인한 UPDATE, DELETE 에러 해결 방법

Update 또는 Delete 쿼리문을 실행할 경우 서로 참조하고 있는 테이블은 해당 데이터를 삭제 하지 않으면 쿼리문 실행 시 오류가 발생한다.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고 쿼리문을 실행하고 싶을 경우 다음의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1번의 SET 쿼리문을 입력한다. Foreign키를 무시하고 쿼리를 실행한다는 의미이다. 2번에서 원래 실행하고자 했던 쿼리를 실행한다. 3번 쿼리를 실행하여 원래 상태로 복구시켜준다. 1. SET foreign_key_checks = 0; 2. "Do Something" 3. SET foreign_key_checks = 1;

DataBase/MySQL 2021.12.06

[데이터베이스 설계] ERD, 논리명, 물리명

논리명 : 의미명(한글이나 알아보기 쉬운 단어로 표현) 한글로 작성해도 무방하며 알아보기 쉽게 작성한다. 물리명 : 실제 컬럼명, 즉 실제 테이블 생성 시 CREATE TABLE에 지정하는 이름을 말한다. 알파벳을 사용하여 작성한다.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작성하는 ERD는 개체 간의 관계를 잘 보여준다는 특징이 있다. 테이블 간의 관계를 명확히 해주며, 설계도의 용도로 사용한다. 개체 : TABLE 또는 VIEW를 의미하며 사각형으로 표시된다. 상단에 개체명을 기입하고 사각형 안에는 속성을 표기한다. (속성은 열, Column을 의미한다.) 개체끼리 상호작용 하는 경우 선으로 이어서 표현한다. 선의 종류를 통해 어떤 관계인지 알 수 있다. *하단에 필자가 작성했던 ERD를 첨부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Programming 2021.11.18

<jsp:include /> 실행되지 않을 때 해결하는 방법

.jsp 파일을 다른 .jsp 파일에서 사용하고자 할 때 이라는 구문을 많이 사용한다. 여기서 include는 현재 파일에서 다른 파일의 내용을 포함시켜 출력할 수 있게 한다. 즉, 두 개의 파일이 가지고 있는 내용을 하나의 페이지에서 출력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header 와 footer에 해당하는 내용은 페이지에 반복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별도의 .jsp 파일을 둬서 해당 파일을 포함시켜 출력한다. 그렇게 되면 일단 코드가 짧아져 가독성이 좋다. 그리고 수정이 필요할 때도 일일히 모든 파일을 수정할 필요 없이 포함되는 .jsp 파일만 수정하면 된다. .jsp파일을 실행 시키는데 자꾸 include한 내용이 실행되지 않았다. 포함되는 파일의 코드를 다시 확인하고, 이상이 없어 파일을 지웠다..

Web 2021.11.15

CSS가 적용되지 않을 때 해결 방법

기존에 절대 경로를 통해 찾아가는 방법이 무수히 많이 나왔으나, 수많은 경우의 수로 절대경로를 지정해도 해결이 안되었다. 그러던 중 전자정부프레임워크의 장점(?) 이라고 할 수 있는 샘플 파일을 참고해서 해결할 수 있었다. 해결 방법 : 태그 라이브러리 사용 URI 를 매핑 주소화 -> 폴더경로, 파일명을 숨길 수 있음 하단의 코드처럼 으로 경로를 설정 후 경로를 참조할 수 있도록 속성을 지정하면 해당 경로를 찾아가게 된다. + core taglib 를 상단에 필수로 입력해야 한다.

Power Mockup 설치 방법 3가지 (무료 有)

웹 & 앱 기획 시 많이 사용하는 Power Mockup을 사용할 수 있는 세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1) 트라이얼 버전을 이용 파워 목업 사이트에서 쉽게 다운로드가 가능하지만, 기능 제한의 단점이 있다. http://www.powermockup.com/ PowerPoint Wireframe and Prototyping Tool | PowerMockup Collaboration PowerPoint includes collaboration and sharing features that facilitate working in a team. You can share documents with others via OneDrive or SharePoint, leave comments on slides, and..

Web 2021.07.30

정적 테스트와 코드리뷰 / Code Inspection

Code Review 코드를 실행하지 않고 사람이 검토해서 코드 상의 잠재적 결함을 찾고 개성하는 과정을 의미. 적은 투자로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테스트 기법. 코드 리뷰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정적 테스트 도구나 코드 인스펙션 도구를 사용. 표준 프레임워크에서는 '코드 인스펙션 도구'라는 명칭을 사용. 정적 테스트는 정적 분석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코드 리뷰를 의미. 성공적인 코드 리뷰를 위해서는 발견한 것들을 공유하고, 조금씩 자주 수행하는 것이 좋음. 오프라인 코드 리뷰 : 여러명이 모여 함께 코드를 리뷰. 온라인 코드 리뷰 : 이메일 등 도구를 사용해 온라인상 피드백. 주요 체크리스트 변수명이 다른 사람이 봐도 이해할 수 있는지 로직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알 수 있는지 Null Check가 분명한..

Protocol / FTP / SFTP 의 의미

Protocol 표준 국어 대사전 "프로토콜은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 또는 한 장치와 다른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원활히 주고받기 위하여 약속한 여러 가지 규약" 인터넷은 전 세계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는 세계 최대의 네트워크이다.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들은 엄청난 양의 정보를 주고 받는다. 그렇다면, 각 나라의 컴퓨터와 설정된 언어가 다른데 어떻게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걸까? 바로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프로토콜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간에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지키기로 약속한 규칙이다. 이 규칙에서는 컴퓨터 간 접속 방식, 데이터의 형식, 데이터의 전달 방식 등을 정하며 다양한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참고 https://better-together.tistory.co..

Web 2021.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