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플리케이션과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결을 하기 위해서는 '기술'이 필요하다.
여기에 필요한 기술은 바로 '연계'이다. 연계 기술과 솔루션은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그렇다면, 꼭 연계할 때 중간에 무언가를 거쳐야하는 건지, 직접 연결하면 편리하지 않을까?라는 질문이 생길 수 있다.
타시스템이 DB에 직접 연결되면 어떨까?
연결 방식은 어렵지 않지만 데이터가 바뀌거나 훼손될 수 있다.
여러 시스템이 DB에 연결되다보면 데이터가 바뀌었을 때 원인을 찾기 어렵고 필요에 의해 바뀌었을 경우라도 해당 데이터를 사용하는 타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Coupling이 강해지게 된다.
RPC | Remote Procedure Call
분산 네트워크 컴퓨팅에서 프로그래밍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별도의 원격 제어를 위한 코딩 없이 다른 주소 공간에서 리모트의 함수나 프로시저를 실행 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세스 간 통신을 의미한다. 분산 컴퓨터 환경에서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RPC를 통해 개발자는 원하는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 많은 Windows 기반의 서비스와 제품군들이 RPC를 사용하고 있다.
- 고정된 TCP/IP 포트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사용 가능한 포트 중 하나를 사용한다.
- RPC는 동일 컴퓨터 상의 다른 프론세스나 다른 컴퓨터 상의 프로세스 함수를 호출하는데 사용되는데, 동일 언어를 사용하거나 비슷한 버전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전제 되어야 한다.
하지만, 언어가 같아도 버전이 다르고, 언어와 버전이 같더라도 개발하는 프레임워크가 다른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개발환경인 어필리케이션 간 연계의 필요성이 생기게 되고 이러한 필요성 속에 EAI가 등장하게 된다.
*EAI에 관련된 포스팅은 다음에 이어서...
참고
https://real-dongsoo7.tistory.com/131
http://www.simpleisbest.net/archive/2005/06/13/159.aspx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설계] ERD, 논리명, 물리명 (0) | 2021.11.18 |
---|---|
Server란? (0) | 2021.07.20 |
개발자 SI & SM 업무 (0) | 2021.06.03 |
[개발 직무] Front-End / HTML, JS, CSS (0) | 2021.05.17 |
[JAVA] 참조형(레퍼런스) 변수, 그게 뭔데? (0) | 2021.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