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 방식
GET방식의 대표적인 특징은 'URL에 Parameter를 붙여서 전송한다'는 것이다.
https://codingloginmyyouth.tistory.com/manage/newpost/?type=post&returnURL=%2Fmanage%2Fposts%2F
URL뒤에 ?를 사용하여 Parameter를 작성하게 되고 &를 붙여 여러개의 Parameter를 구분하게 된다.
이런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URL에 Parameter를 전송하기 때문에 body영역을 사용하지 않는다.
URL에 데이터를 실어 보내기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하기에 제한 사항이 있다.
한번 요청시 URL포함 255자 까지 전송이 가능하며 HTTP/1.1 에서는 2048자 까지 가능하다.
POST 방식
POST 방식의 특징으로는 대표적으로 GET 방식과는 달리 body영역에 데이터를 실어 보낸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양의 길이 제한이 없으며 대용량 데이터를 보내는데 적합하다.
POST로 데이터를 전송할때에는 Body영역 데이터 타입을 Header Content-Type에 명시를 해줘야 한다.
POST방식은 GET방식과는 달리 보내는 데이터를 URL를 통해 볼 수 없어 보안적으로 안전하다.
(다른 툴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심은 NO)
참고 자료
https://khj93.tistory.com/entry/GET-%EB%B0%A9%EC%8B%9D%EA%B3%BC-POST-%EB%B0%A9%EC%8B%9D-%EC%9D%B4%EB%9E%80-%EC%B0%A8%EC%9D%B4%EC%A0%90
프로그래밍 공부를 위해 여러 자료들을 토대로 작성한 기록입니다.
개인 공부에만 사용해주시고, 상업적인 활용과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tocol / FTP / SFTP 의 의미 (0) | 2021.07.26 |
---|---|
[Web] XML 이란? (0) | 2021.07.16 |
[Web] DBCP (0) | 2021.07.15 |
[Web] Forwarding & Redirect (0) | 2021.07.13 |
웹퍼블리셔에게 필요한 기술 : HTML, CSS, JavaScript, JQuery (0) | 2021.04.18 |